본문 바로가기
고금소총

선인들의 해학 - 고금소총(古今笑叢) - 제25화

by 박달령 2007. 10. 23.

♥ 모두가 내 잘못이오. (皆吾之過也)

한 부인이 있어 글을 잘 알지는 못하나 들으면 꼭 써먹어 보고야 마는데 어느날 아들이,

"오늘밤 몇몇 친구가 모이게 되어 있은즉 그냥 보내기가 뭣하니 간단한 술상을 차려 주십시오."

하고 아뢴다.


어머니는 아들의 부탁대로 술상을 갖추어 내놓고, 창밖에서 우연히 아들 친구들의 취중 담화를 듣게 되었다. 그리고 이튿날 아침 딸도 같이 듣는데서 아들에게 물었다.
"어제밤 창 밖에서 너희들의 문자 쓰는 것을 들은즉 모두 유식하여 가히 들을만 한데, 다만 용두질(龍到質), 비력질(臂力質), 요분질(搖奔質) 등에 이르러서는 그 문자와 뜻을 알 수가 없던데,

그것들은 어디에다 쓰는 말들이냐 ?"

대체로 용두질이라 함은 수음(手淫)을 말하며, 비력질이라 함은 남자끼리의 교합을 말함이요, 요분질이라 함은 남녀가 교접시 여자가 몸을 움직임을 이르는 말인지라, 아들이 기가 막혀 대답할 말이 없어 거짓으로 꾸며,
"용두질, 비력질은 친구들 간에 담배를 피우거나 노름을 할 때 쓰는 말이며, 요분질은 바느질을 일컬을 때 쓰는 말입니다."

하고 답하여 올렸다.

그 어머니는 그런 줄만 알고 있던 중, 딸이 출가한 후 사위와 함께 인사차 찾아 왔다. 어머니는 상을 잘 차려 대접하고 나서 사위에게 일러 가로되,
"사랑방에 나가 처남과 더불어 용두질, 비력질을 하면서 종일 잘 놀다 가게나."

하였다. 그러자 딸이 나서며,

"그러면 그 사이에 비록 이렇다 할 솜씨는 없으나 어머니 대신 요분질만은 제가 능히 해드리고 가겠습니다."

하는게 아닌가.

신랑이 들은즉 해괴망측 한지라 묵묵히 있다가 집으로 돌아오자 아내를 쫓아내 버렸다.
딸이 왜 쫓겨 왔는지 그 연고를 알 수 없던차 아들이 짚이는 데가 있어 어머니에게,
"어제 매부가 왔을 때 무슨 일이 있었는지요 ?"

하고 여쭌즉,
"이러이러 했을 뿐 다른 말은 없었느니라."

한다.

아들이 들은즉 참으로 낭패스럽게 되었거늘 매부를 찾아가,
"이번 일은 여차여차 한즉 모두 나의 과실이지 어머니나 누이의 잘못이 아니니 부디 마음에 두지 마시게."

하였다.

이를 들은 매부, 그 말을 듣고 크게 웃으며 곧 가마를 보내어 아내를 데려갔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