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빈(主賓) 자리에 앉았다가 … (獨在主賓席)
주(周)씨 성을 가진 노총각 아전이 있었던 바 그 모습이 훌륭하였다. 성묘(省墓)를 마치고
고향으로 돌아갈 때에 어떤 촌가(村家)에 투숙하게 되었는데, 마침 주인집에 혼례를 지낼 신
부가 있었다. 주씨는 혹시 남은 음식이라도 맛볼까 하여 사랑방 근처를 배회하고 있으려니
까 과연 주인집에서 잔치를 벌이면서 손님을 부르기에 주씨도 사랑방에 들어 한자리를 차지
하고 앉았다.
술을 주고 받다가 여러 손님은 흩어져 가고, 한 방에 있던 새 사위는 술에 만취가 되어 밖
에 나가 방뇨(放尿)를 하다가 볏짚단 위에 넘어진 채 일어나지 못하고 잠이 들어버린 후, 주
씨 혼자만 남아있게 되었다.
그러자 주인집 사람이 주씨를 신랑으로 잘못 알고 나오라 하더니 촛불을 든 자가 신부 방 앞
의 휘장을 걷어올리고, 예(禮)를 맡은 자는 주씨를 인도하니, 주씨는 마침내 방으로 들어가
신부를 맞이하게 되었다. 주씨는 화촉(華燭) 아래 신랑이 된 기분이 즐겁기만 하였다.
새벽이 되어 신랑이 취했던 술이 깨어 일어나 신부 방에 들어가려고 하나, 문이 굳게 닫힌
채 고요하고 인적이 없는지라 문을 두드리며 큰 소리로,
"나는 신랑이다 !" 하자 안에서,
"사위는 벌써 가례를 마쳤는데 어떤 미친놈이 그런 말을 하느냐 ?" 하고 대답한다.
신랑이 크게 노하여 수행하여 온 친척들과 함께 한참 떠들고 다툰 끝에 밖에 있는 사람이
진짜 사위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주인 노인은 크게 당황하여 주씨에게,
"당신은 대체 어떤 사람이오 ?" 하고 물었다.
"엊저녁에 투숙한 나그네입니다." 하고 주씨가 대답하자,
"무엇 때문에 우리 가문을 어지럽혔느냐 ?" 하고 다시 물었다.
"장례자(掌禮者)가 인도하였기 때문입니다."
주씨의 이 말에 주인 노인은 어떻게 할 수 없어 주씨를 내치고 새 사위를 들이려 하자, 주
씨가 조용히 의관을 갖추고 뜰 아래 나와 절을 하면서,
"바라건대 한 마디 말씀드리고 나가겠습니다. 제가 들은 바로는 여인의 길은 한 번 허락하
면 종신토록 고치지 않는다 하며, 한 번 그 절개를 잃으면 아내 됨을 부끄러워한다 하는데,
부모로서 진실로 딸의 절개가 온전하기를 원합니까 ? 아니면 이지러진 것을 원합니까 ? 노
인장의 따님은 저에게 정절을 바쳤습니다. 재삼 생각하여 주십시오."
하니 주인 노인은 한참 중얼거리며 생각을 하다가,
"이미 도적의 술책에 빠졌으니 이걸 어찌 하겠는가 ?" 하였다.
그리하여 사위와 장인의 관계가 새로 정하여졌다. 그 후 주씨는 그 문호(門戶)를 크게 세우
고 자손들이 번창하였다 한다.
주(周)씨 성을 가진 노총각 아전이 있었던 바 그 모습이 훌륭하였다. 성묘(省墓)를 마치고
고향으로 돌아갈 때에 어떤 촌가(村家)에 투숙하게 되었는데, 마침 주인집에 혼례를 지낼 신
부가 있었다. 주씨는 혹시 남은 음식이라도 맛볼까 하여 사랑방 근처를 배회하고 있으려니
까 과연 주인집에서 잔치를 벌이면서 손님을 부르기에 주씨도 사랑방에 들어 한자리를 차지
하고 앉았다.
술을 주고 받다가 여러 손님은 흩어져 가고, 한 방에 있던 새 사위는 술에 만취가 되어 밖
에 나가 방뇨(放尿)를 하다가 볏짚단 위에 넘어진 채 일어나지 못하고 잠이 들어버린 후, 주
씨 혼자만 남아있게 되었다.
그러자 주인집 사람이 주씨를 신랑으로 잘못 알고 나오라 하더니 촛불을 든 자가 신부 방 앞
의 휘장을 걷어올리고, 예(禮)를 맡은 자는 주씨를 인도하니, 주씨는 마침내 방으로 들어가
신부를 맞이하게 되었다. 주씨는 화촉(華燭) 아래 신랑이 된 기분이 즐겁기만 하였다.
새벽이 되어 신랑이 취했던 술이 깨어 일어나 신부 방에 들어가려고 하나, 문이 굳게 닫힌
채 고요하고 인적이 없는지라 문을 두드리며 큰 소리로,
"나는 신랑이다 !" 하자 안에서,
"사위는 벌써 가례를 마쳤는데 어떤 미친놈이 그런 말을 하느냐 ?" 하고 대답한다.
신랑이 크게 노하여 수행하여 온 친척들과 함께 한참 떠들고 다툰 끝에 밖에 있는 사람이
진짜 사위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주인 노인은 크게 당황하여 주씨에게,
"당신은 대체 어떤 사람이오 ?" 하고 물었다.
"엊저녁에 투숙한 나그네입니다." 하고 주씨가 대답하자,
"무엇 때문에 우리 가문을 어지럽혔느냐 ?" 하고 다시 물었다.
"장례자(掌禮者)가 인도하였기 때문입니다."
주씨의 이 말에 주인 노인은 어떻게 할 수 없어 주씨를 내치고 새 사위를 들이려 하자, 주
씨가 조용히 의관을 갖추고 뜰 아래 나와 절을 하면서,
"바라건대 한 마디 말씀드리고 나가겠습니다. 제가 들은 바로는 여인의 길은 한 번 허락하
면 종신토록 고치지 않는다 하며, 한 번 그 절개를 잃으면 아내 됨을 부끄러워한다 하는데,
부모로서 진실로 딸의 절개가 온전하기를 원합니까 ? 아니면 이지러진 것을 원합니까 ? 노
인장의 따님은 저에게 정절을 바쳤습니다. 재삼 생각하여 주십시오."
하니 주인 노인은 한참 중얼거리며 생각을 하다가,
"이미 도적의 술책에 빠졌으니 이걸 어찌 하겠는가 ?" 하였다.
그리하여 사위와 장인의 관계가 새로 정하여졌다. 그 후 주씨는 그 문호(門戶)를 크게 세우
고 자손들이 번창하였다 한다.
'고금소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인들의 해학 - 고금소총(古今笑叢) - 제101화 (0) | 2007.10.18 |
---|---|
선인들의 해학 - 고금소총(古今笑叢) - 제102화 (0) | 2007.10.18 |
선인들의 해학 - 고금소총(古今笑叢) - 제104화 (0) | 2007.10.18 |
선인들의 해학 - 고금소총(古今笑叢) - 제105화 (0) | 2007.10.18 |
선인들의 해학 - 고금소총(古今笑叢) - 제106화 (0) | 2007.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