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씨의 유래를 듣고 놀림을 멈추다. (聞姓由止戱弄)
어떤 마을에 정(鄭)씨와 명(明)씨가 이웃하여 살고 있었다.
순박한 농민들로서 다정하기 이를 데 없어 서로 욕 친구가 되었다.
그러던 어느 날 주막에서 명씨가 정씨에게 이렇게 놀렸다.
"여봐 ! 당나귀 나 좀 타고 가자고 다리가 아파서 죽겠어."
"이런 빌어먹을 자식 보게, 형님을 몰라보고 버릇없이 주둥아리를 놀리다니 경을 칠..."
정씨는 명씨를 마땅히 짐승으로 놀리지 못해 고작 욕설만 할뿐이었다.
"허허, 그 친구 입버릇 한 번 고약하군. 그것도 모두 고약한 성을 가졌기 때문인가 ?"
정씨는 생각할수록 화가 치밀어 올랐지만 놀려줄 말이 없어서 안타까웠다.
어느날 정씨는 지나가는 탁발승(托鉢僧)을 만나 이를 어찌하면 좋을지 하소연을 하게
되었다. 그러자 탁발승은,
"지금 곧 명씨집으로 앞장서시오. 나머지는 내가 알아서 할터이니..."
하므로 정씨는 뛸 듯이 기뻐 탁발승을 명씨집으로 안내하여 달려갔다.
이윽고 명씨가 정씨에게.
"이 사람 당나귀 아닌가 ? 그래 어쩐일인가 ?"
하고 놀리므로 적당히 둘러대는데 곧 탁발승이 들어오자 명씨는 심심하던 차에 불러들
여 이런저런 얘기를 하다가,
"그래 대사님의 성은 무엇이오 ?"
하고 물었다.
"출가한 탁발승에게 속세에서 쓰던 성이 무슨 상관 있겠습니까마는, 소승의 성은 말씀
드리기가 심히 부끄러운 성입니다."
"아니, 무슨 성이기에 말씀하시기가 난처하다는 거요 ? 혹시 쌍놈의 성이라도 ?"
"그런 게 아니오라, 성의 내력이 좀 고약해서..."
"어서 그 내력 좀 들어봅시다."
"실은 소승의 모친이 행실이 좋지 못해서 불공드린다고 절에 가서는 일정사(日精寺)의
스님과 월정사(月精寺)의 스님을 번갈아 가며 관계를 가졌더랍니다. 그래서 저를 낳게
되었다 하더군요. 그런데 어머니 자신도 내가 누구의 자식인지 알 수 없었으므로 할 수
없이 일정사의 일(日)과 월정사의(月)자를 따서 한데 어울려 명(明)가라는 성을 만들어
소승의 성으로 정했다고 하더이다."
탁발승의 이야기를 듣고 있던 명(明)씨는 점점 얼굴이 창백해지고 숨소리를 씨근거렸다.
그 후로부터 명씨는 길에서나 주막에서 정씨를 만나도 놀리지 않았다 한다.
'고금소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인들의 해학 - 고금소총(古今笑叢) - 제121화 (0) | 2007.10.18 |
---|---|
선인들의 해학 - 고금소총(古今笑叢) - 제122화 (0) | 2007.10.18 |
선인들의 해학 - 고금소총(古今笑叢) - 제124화 (0) | 2007.10.18 |
선인들의 해학 - 고금소총(古今笑叢) - 제125화 (0) | 2007.10.18 |
선인들의 해학 - 고금소총(古今笑叢) - 제126화 (0) | 2007.10.18 |